티스토리 뷰

반응형

“집 살 때 LTV랑 DSR이 중요하대요”… 근데 대체 그게 무슨 말일까요? 

부동산 대출을 받으려면 꼭 이해해야 할 개념이 바로 LTV(담보인정비율)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입니다.

복잡한 용어 대신, 사례와 숫자로 쉽게 풀어 설명드릴거라서 글을 끝까지 읽어 보시면 머릿속에 오래 기억으로 남으실 겁니다.

 

LTV(담보인정비율)과 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

 

 

목차

     

    💡 LTV란? (Loan To Value)

    내 집값의 몇 %까지 빌릴 수 있는가를 의미하는 대출 기준입니다.

    예를 들어:

    • 아파트 시세: 5억 원
    • LTV 70%라면 → 최대 3억 5천만 원까지 대출 가능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📌 LTV는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

    지역 구분 LTV 한도
    투기과열지구 40~50%
    조정대상지역 최대 60%
    비규제지역 최대 70%

    ※ 생애최초 구입자, 신혼부부는 일부 우대 적용 가능

     

     

    💰 DSR이란? (Debt Service Ratio)

    내가 벌어들이는 소득 대비, 빚을 얼마나 갚고 있느냐를 보는 비율입니다.

    예시:

    • 연소득: 5,000만 원
    • DSR 40% → 1년에 2,000만 원(월 약 166만 원)까지만 모든 대출 원리금 상환 가능

    📌 DSR에 포함되는 항목

    • ✔ 기존 신용대출
    • ✔ 카드론, 할부
    • ✔ 자동차 할부, 전세자금대출
    • ✔ 기존 주택담보대출

    📍 DSR을 줄이면 → 대출 한도 올라감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아직 잘 이해가 안가시면  좀 더 쉽게 풀어서 설명한 내용이 있는데 한번 읽어보세요.

     

     

    📊 한눈에 보는 LTV vs DSR

    항목 LTV DSR
    기준 담보(집값) 기준 소득 기준
    중요 요소 집 시세, 지역 소득, 기존 대출
    영향 미치는 것 집값 오르면 한도 ↑ 부채 많으면 한도 ↓

    📝 실제 사례 비교

    • 📍 A씨: 연봉 6천, 집값 5억, 대출 없음 → LTV 70% → 3억 5천 가능 → DSR 여유로움 → 3억 5천 전액 승인 가능
    • 📍 B씨: 연봉 3천, 집값 5억, 신용대출 있음 → LTV는 3억 5천 가능하지만 → DSR 초과로 실제 가능 대출 2억 2천 수준

     

    ✅ 요약: 한도는 LTV와 DSR 중 더 낮은 값이 기준

    ✔ LTV는 담보가치로 계산된 한도
    ✔ DSR은 소득과 기존 부채로 계산된 한도

    👉 최종 대출 가능 금액 = 두 가지 중 작은 값

     

     

    📌 내 대출 한도 & 이자 직접 확인해보기

    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  Q1. 내 연소득이 적은데도 담보가 있으면 대출 많이 나오나요?

    그렇지 않습니다. 최근엔 소득 중심 심사(DSR)가 핵심이기 때문에 담보만 크다고 대출이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.

    Q2. DSR 40%는 법으로 정해진 건가요?

    정부 규제 수준이며, 1금융권 주담대 기준은 40% 적용. 2금융권은 더 낮을 수 있습니다.

    Q3. 기존 신용대출이 많으면 아파트 담보대출도 불리한가요?

    네. DSR에 모두 포함되므로 대출 전에 신용대출 상환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📞 더 정확한 한도,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

    LTV·DSR을 이해하면, 무리한 대출도, 낙관적인 기대도 피할 수 있습니다.
    지금 내 조건에 맞는 한도를 간단하게 계산해보세요.

    복잡한 용어는 이제 그만! 내가 받을 수 있는 대출부터 정확히 알고 시작하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