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2025년을 맞아 국가건강검진 제도에 여러 변화가 도입되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건강검진 대상자, 주요 변경 사항, 검진 항목 및 예약 방법 등을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
목차
1. 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
일반건강검진 대상자:
- 만 20세 이상: 지역세대주, 직장가입자 및 세대원, 피부양자
- 검진 주기: 매 2년마다 1회 (비사무직은 매년)
- 2025년 대상자: 홀수년도 출생자
암검진 대상자:
- 위암: 만 40세 이상 남녀, 2년 주기
- 대장암: 만 50세 이상 남녀, 1년 주기
- 간암: 만 40세 이상 고위험군, 6개월 주기
- 유방암: 만 40세 이상 여성, 2년 주기
- 자궁경부암: 만 20세 이상 여성, 2년 주기
- 폐암: 만 54~74세 중 고위험군, 2년 주기
링크를 통해 국민건강보험에 들어가신 후 , 올해 건강검진 대상자인가요?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2. 2025년 주요 변경 사항
1) 우울증 검사 주기 변경:
기존에는 만 40세부터 10년 주기로 시행되던 우울증 검사가 만 20세부터 2년 주기로 확대되었습니다. 이는 청년층의 정신건강을 조기에 관리하기 위한 조치입니다.
2) 골다공증 검사 확대:
기존에 만 54세와 66세 여성에게만 제공되던 골다공증 검사가 만 60세 여성까지 포함되어, 총 3회(54세, 60세, 66세)에 걸쳐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3) C형 간염 항체 검사 도입:
만 56세를 대상으로 C형 간염 항체 검사가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. C형 간염은 초기 증상이 미미하여 조기 발견이 중요하므로, 해당 연령대의 분들은 검진을 통해 간 건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3. 검진 항목 및 내용
일반건강검진:
- 기본 검사: 신체계측(신장, 체중, 허리둘레, 시력, 청력), 혈압 측정
- 혈액 검사: 빈혈, 공복혈당, 간기능(AST, ALT, 감마지티피), 신장기능(크레아티닌), 지질검사(총콜레스테롤, HDL, LDL, 중성지방)
- 소변 검사: 요단백
- 흉부 방사선 촬영: 폐결핵 및 흉부 질환 확인
- 정신건강 검사: 우울증 검사(PHQ-9)
암검진:
- 위암: 위내시경 검사 (필요 시 위장조영검사 선택 가능)
- 대장암: 분변잠혈검사 (양성 시 대장내시경 검사)
- 간암: 간초음파 및 혈청 알파태아단백 검사
- 유방암: 유방촬영술
- 자궁경부암: 자궁경부 세포검사
- 폐암: 저선량 흉부 CT
4. 건강검진 예약 및 유의사항
1) 예약 방법:
- 온라인 예약: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예약 가능합니다.
- 전화 예약: 지역 건강검진기관에 직접 전화하여 예약할 수 있습니다.
2) 검진 전 유의사항:
- 금식: 정확한 혈액 검사를 위해 검진 전날 밤 9시 이후부터 금식이 필요합니다.
- 약물 복용: 복용 중인 약물이 있다면, 검진 전에 의료진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.
- 편안한 복장: 검진 당일에는 편안한 복장과 신발을 착용하시고, 귀중품은 지참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
3) 검진 결과 확인 및 사후 관리:
- 결과 통보: 검진 후 약 2주 이내에 결과를 우편 또는 온라인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.
- 이상 소견 시: 추가 정밀검사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, 결과를 받은 후 의료기관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.
5. 건강검진 비용 및 지원 혜택
국가건강검진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에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일부 검진 항목은 개인 부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, 검진 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✔ 일반 건강검진: 전액 무료
✔ 암 검진: 기본 검사 무료 (추가 정밀검사는 본인 부담)
✔ 폐암 검진: 폐암 고위험군은 무료 제공
✔ 추가 검사: 개인이 원하는 추가 검진 항목은 병원별로 비용이 다를 수 있음
📌 TIP: 암 검진 대상자인데 검진을 받지 않으면?
건강보험료를 납부하는 직장인 및 지역가입자가 암 검진을 받지 않을 경우, 건강보험료 가산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대상자라면 반드시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.
6.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는 병원 및 기관
건강검진은 전국 지정된 병·의원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. 공단에서 지정한 병원이므로 신뢰할 수 있으며, 개인이 원하는 지역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검진 가능 기관 찾는 법:
-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
- 건강검진 탭 클릭
- ‘검진기관 찾기’ 메뉴에서 지역별 병원 검색
검진 기관 방문 전 체크할 사항:
✔ 병원의 검진 예약 가능 여부 확인
✔ 검진 진행 시간 (평일/주말 가능 여부)
✔ 위내시경 검사 시 수면내시경 가능 여부 확인
7. 건강검진 관련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건강검진 대상자인데, 검진을 꼭 받아야 하나요?
A1. 건강검진은 의무는 아니지만, 받지 않으면 건강보험료 가산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 또한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받는 것이 좋습니다.
Q2. 건강검진은 무료인가요?
A2. 일반 건강검진과 기본 암 검진은 무료입니다. 하지만 추가적인 검진(수면 내시경, 초음파 등)은 개인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Q3. 검진 후 결과는 어떻게 확인하나요?
A3. 검진 후 약 2주 이내에 우편으로 결과를 받을 수 있으며,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Q4. 건강검진을 놓쳤다면 다음 해에도 받을 수 있나요?
A4. 건강검진은 지정된 연도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놓쳤다면 다음 검진 주기(2년 후)에 받을 수 있습니다.
Q5. 검진 기관을 변경할 수 있나요?
A5. 예약 후 검진 기관을 변경하려면, 기존 예약을 취소한 뒤 새로운 병원에서 예약하면 됩니다.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국민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및 안내 (0) | 2025.03.09 |
---|---|
국민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하는 방법 (0) | 2025.03.09 |
엉덩이 근육 애플 힙 만들기, 하루 10분 힙업 루틴 공개 (0) | 2025.02.12 |
대상포진 초기 증상과 효과적인 치료 방법, 조기 발견과 예방의 중요성 (0) | 2024.10.13 |
대상포진 무료 예방 접종, 초기 증상, 전염, 효과 및 부작용 총정리 (4) | 2024.10.13 |